본문 바로가기
IT

무선 Wifi 환경에서 고정 IP 할당하기

by Keserasera 2024. 11. 26.
728x90
반응형

무선  Wifi 환경에서 고정 IP 할당하기

DHCP Management Console을 이용한 PC 고정 IP 할당하기

 

1. DHCP와 고정 IP의 필요성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란 무엇인가?

 . DHCP(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는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 DHCP 서버가 설정되어 있으면 클라이언트 장치들은 별도의 설정 없이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다

- 고정 IP가 필요한 이유

.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네트워크 장치(프린터, NAS, IoT 장치 등)는 항상 동일한(Static) IP를 사용해야 네트워크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 특정 PC에 고정 IP를 할당하면 IT 관리자는 원격 접속이나 문제 해결이 더 쉬워진다

 

2. 준비 작업

- 대상 Windows Server에서 DHCP 서버 역할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 Server Manager → Roles and Features → DHCP 역할 설치 여부 체크

 . 다른 환경에서는 라우터나 네트워크 장치의 DHCP 활성화 여부 확인한다

- End User PC의 MAC 주소 확인

 . Windows

  1) 명령 프롬프트 열기(Ctrl+R)

  2) ipconfig /all 입력

  3) Physical Address 항목에서 MAC 주소 확인

 . MacOS

  1) System Preferences (시스템 환경설정) → Network (네트워크) 선택

  2) Advanced → Hardware 탭에서 MAC 주소 확인

 . 라우터 사용 시

  관리 페이지에 로그인 → Connected Devices 또는 Clients 항목에서 확인

 

3. DHCP Management Console 열기

- DHCP Management Console 실행

. Win + R 키를 누르고 dhcpmgmt.msc 입력 후 실행

. Server Manager → Tools → DHCP 선택

   인터페이스 소개

   왼쪽 패널: DHCP 서버 목록 및 각 서버의 Scope(범위) 정보

   오른쪽 패널: 현재 선택한 항목의 세부 관리 옵션 표시

 

4. 고정 IP 할당 과정

- Reservations (예약) 역할

 . 특정 MAC 주소에 특정 IP를 항상 할당하도록 설정

 . 동적 IP 주소 할당의 일부 범위에서 특정 장치를 고정 IP로 예약

- 단계별 설정

  1. DHCP 콘솔에서 Scope 선택 → Reservations 우클릭 → New Reservation 클릭
  2. Reservation Name: 장치의 이름(예: "Finance-PC1")
  3. IP Address: 고정 IP로 설정할 주소 입력(예: 192.168.1.100)
  4. MAC Address: 준비한 MAC 주소 입력(예: "00-14-22-01-23-45")
  5. Description: 설명 추가(선택 사항)
  6. 지원 프로토콜: DHCP에서는 일반적으로 Both (BOOTP and DHCP) 선택
  7. Add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저장

 

5. 옵션 설정 및 확인

- DHCP 옵션 구성

 . DNS 서버,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등 네트워크 설정을 옵션으로 추가 가능

 . Scope Options에서 DNS 서버(IP: 8.8.8.8)나 Default Gateway 설정 확인

- 설정 확인

. End User PC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거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renew 입력

 . ipconfig로 할당된 IP가 고정 IP인지 확인

 

6. 실제 사용 사례

- 예시 1: 사내 프린터 고정 IP 설정

 . 프린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고정 IP 할당 →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해당 IP로 연결

- 예시 2: 원격 데스크톱 환경

 . 개발 팀원 A의 PC를 원격 관리하기 위해 항상 같은 IP로 설정

- 예시 3: NAS 장치 연결

 . NAS가 항상 동일 IP를 사용하도록 설정해 파일 공유 및 백업 시스템 안정성 유지

 

7. 주의사항 및 팁

- DHCP 범위와 고정 IP 충돌 방지

 . Scope 범위에서 제외된 IP 주소를 고정 IP로 사용 (예: 범위가 192.168.1.10~192.168.1.100이라면 192.168.1.101 이후 사용)

- MAC 주소 확인의 중요성

 . 실수로 잘못된 장치에 IP를 할당하지 않도록 주의

- Reservation 목록 관리

 . 설명 필드에 장치 소유자 또는 용도를 기록해 관리 편의성 향상

 

8. 요약

DHCP Management Console로 End User PC에 고정 IP를 쉽게 할당할 수 있음.

네트워크 환경에서 고정 IP를 효율적으로 설정하면 관리 시간 절약과 네트워크 안정성 향상 가능.

IT 관리자라면 DHCP의 다양한 기능을 적극 활용해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