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2025년 상속세 개편! 유산취득세 도입으로 세 부담 줄어든다?

by Keserasera 2025. 3. 31.
728x90
반응형

2025년 상속세 개편! 유산취득세 도입으로 세 부담 줄어든다?

2025년부터 한국의 상속세 방식이 기존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된다. 이 개편으로 인해 많은 납세자들이 세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렇다면 유산취득세란 무엇이며,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자.

 

유산세 vs 유산취득세, 무엇이 다를까?

현재 한국은 유산세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즉, 돌아가신 분(피상속인)의 전체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반면, 유산취득세각 상속인이 실제로 받은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부모가 남긴 10억 원을 두 자녀가 3억 원과 7억 원씩 나눠 가질 경우,

  • 유산세(현행): 10억 원 전체에 대해 누진세율 적용
  • 유산취득세: 각 상속인이 받은 3억 원, 7억 원에 대해 개별 과세

유산세 vs 유산취득세 비교표

항목 유산세 유산취득
과세 기준 피상속인의 전체 재산 각 상속인이 받은 재산
세금 계산 전체 재산에 누진세율 적용 후 분배 각자 받은 재산에 개별 누진세율 적용
공제 혜택 일괄 공제, 가구당 공제 상속인별 개별 공제
장점 세금 계산과 행정 절차 간단 상속인별 부담 능력 고려, 형평성 ↑
단점 상속인 간 형평성 문제 발생 가능 세금 계산과 행정 절차 복잡

 

2025년 상속세 개정안 주요 내용

1. 과세 기준 변경

  • 기존: 피상속인의 전체 재산을 기준으로 과세
  • 변경: 각 상속인이 실제 받은 재산을 기준으로 과세

2. 상속세 세율 인하

  • 기존 최고세율 50% → 40% 인하
  • 대기업 주식 상속 시 할증 과세 완화
※ 현행 상속세율

 

1억 원 이하: 10%
1억~5억 원 이하: 20%
5억~10억 원 이하: 30%
10억~30억 원 이하: 40%
30억 원 초과: 50%

3. 공제 제도 개편

  • 기존 일괄 공제 폐지
  • 자녀 공제 상향: 1인당 5억 원
  • 배우자 공제 강화: 10억 원까지 법정상속분 초과해도 공제 가능

 

[사례] 아버지가 남긴 20억 원의 상속세 변화

방식 어머니(10억) 자녀1(6억) 자녀2(4억) 총 세금
현행 유산세 20억 기준 40% 세율 - - 높음
유산취득세 (변경 후) 10억 기준 30% 6억 기준 30% 4억 기준 20% 낮음

 

새 제도, 언제부터 시행되나?

2025년 5월 국회에 개정안이 제출될 예정이며, 2028년부터 본격 시행될 계획이다. 다만, 입법 과정에서 시행 시기가 변동될 가능성도 있다.

 

요약

2025년 상속세 개편안으로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되면서 많은 납세자의 세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제도 변화에 대비해 상속세 절세 전략을 미리 세워보는 것이 중요하다.

 

 

 

#2025년상속세개정 #유산취득세란 #상속세절세방법 #유산세vs유산취득세 #한국상속세개편

 

728x90
반응형
LIST